Utilities newly added into my Mac OS X Mountain Lion.



1. [FREE] PDF Viewer, SKIM (http://skim-app.sourceforge.net/)


2. [US$70] Programming Editor, Sublime Text, for Developers.(http://www.sublimetext.com/)

: Try it first, and then let's get it or not!!

3. [FREE] Powerful Terminal, iTerm2.(http://www.iterm2.com/#/section/home)


4. [FREE] Enhanced you touches, Better Touch Tool.(http://www.boastr.de/)


5. [FREE] My Battery status, CoconutBattery.(http://www.coconut-flavour.com/coconutbattery/)


6. [FREE] ScreenCapture, Monosnap.(http://monosnap.com/welcome)



 All other information about useful apps are available at "http://macnews.tistory.com/533".


Posted by Jason Ryu
,

Mac OS X에서 Microsoft Office 파일들을 사용하려면 iWork 혹은 Office for Mac을 이용하기 마련인데,

새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문서, 즉 MS Windows에서 작성한 문서,를 재가공하려고 한다면

고생할 각오를 해야하겠다.

Office for mac의 경우에는 한글판이 없기때문에 UI사용시 약간의 혼동도 존재하고, 특히 글꼴이슈는 대략난감하다. 그리고 생각보다 훨씬 버벅거림 현상도 자주 발견되고 가장 심각한건, 확장자가 .docx/.xlsx/.pptx로 되었다고하여 office for mac과 office for win이 문제없이 처리한다고 믿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생각해보건데 office for mac은 버전이 2011이고 office for win은 2010이 최신이다. 윈도우용이 먼저 나왔다는 것뿐이라 숫자가 2010인데, 기능이나 UI 등등을 고려할때 mac용은 훨씬 더 구리고 부족함이 많이 보인다. 버전이 달라서인지 모르겠지만, 확장자에 x가 붙은 이 파일로는 제대로 호환이 안된다. mac용에서 이전버전용으로 변환한 후에 윈도우용에서 열면 그나마 좀 더 제대로 나온다. 결론은 안쓰는게 속편하다는 얘기.(마지못해 사용)

iWork의 경우에는 단순히 오피스 뷰어보다는 낫다는 것 뿐, 호환이슈가 있어서 지원않는 서식은 그냥 없애거나 대체해버린다. 결국 기존문서를 재가공하는 경우 사용하기 난감하다.(내용이 사라지는 일도 생김) 역시나 글꼴문제도...

윈도우에서 작성된 문서들을 사용해야한다면, 위와같은 app을 사용하기보다는

"VMware" 혹은 "Parallels", 그리고 MS Windows + MS Office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겠다.

물론 하드웨어 성능이 필히 따라줘야 편하다는것.



Posted by Jason Ryu
,

(어느새 석달째로 접어드는) 새로 맡게 된 일이 또 3GPP에서 나온 IMS.

구성도를 그려보니 개략적인 흐름이 보이긴한다.


 서너개 노드를 빼면 모두 이름부터 생소하다. 앞으로 시간깨나 걸리겠다.

일단은 내가 관심을 갖는 부분에 관한 것들만 추려서 중심을 옮겨 그려보는게 중요하겠다... 역시 그림은 Visio같은 툴 보다는 종이나 보드에 손으로 직접 슥~슥~ 그리는게 좋다.

* HSS : Home Subscriber Server

* SLF : Subscription Locator Function

* PCRF :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 PCEF : 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 MRFC : Multimedia Resource Function Controller

* MRFP : Multi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

* AS : Application Server

* ISC : IMS Service Control

* CSCF :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 P-CSCF: Proxy CSCF

* I-CSCF : Interrogating CSCF

* S-CSCF : Service CSCF

* BGCF : Breakout Gateway Control Function

* MGCF :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 IM-MGW : IP Multimedia - Media GateWay

* SGW : Signaling Gateway

* 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세션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S-/I-/P-CSCF
홈 가입자 서버인 HSS, SLF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MRFC, MRFP
기존 망과의 게이트웨어역할을 담당하는 MGCF, IM-MGW, SGW, BGCF
QoS 제어를 담당하는 PCRF, PCEF


Posted by Jason Ryu
,

링커마다 차이가 있을수는 있는데, GNU gcc를 사용한다면 분명 문제가 생길때가 있다.
즉, gcc(실제로는 ld)가 링크작업을 수행하면서 '라이브러리 목록'을 앞에서 뒤로 한번만 검색하기때문에 생기는 문제.
그런 경우를 위해서 ld 옵션에는
-Wl,--start-group {라이브러리 목록} -Wl,--end-group
이 마련되어 있다.(-Wl 대신 -Xlinker를 사용해도 된다)
 즉, 라이브러리 목록은 한번 더 검색해준다는 얘기.

그런데, 자동화 빌드 도구들(automake, autoconf, 등등)을 사용할때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Makefile.am 작성할때 ld 옵션을 넣고 싶긴한데, 아무리 매뉴얼을 뒤져봐도 그런 옵션들을 넣을 방법이 안나온다.
즉, GNU의 그런 도구들은 '위치 의존적인 옵션'들에 대해서는 자동화도구에서 '이식성'문제로 지원하질 않는다.

비록 편법이긴하지만, 간단한 해결책은 "그냥 목록을 두번 작성하는 것"이다.
USER_LIBS=-lcommon -lutil -lmisc

였다면
USER_LIBS=-lcommon -lutil -lmisc -lcommon -lutil -lmisc

라고 두번쓰는것.

 
Posted by Jason Ryu
,

맥용 오피스 2011은 한국어버전이 없다. 그리고, 나오지도 않을듯.(굳이 필요하진 않다)

윈도우시스템에는 '맑은고딕'폰트가 들어있지만(M$가 소유권을 갖고 있다)
맥시스템에는 '애플고딕'폰트가 들어있다.
개인적인 평가는 '애플고딕'따위랑 '맑은고딕'님이랑 비교를 거부한다.
내 눈엔 '맑은고딕' 완승.
그래도 '애플고딕'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봐야할 워드문서들 상당수가 윈도우시스템에서 작성되었는데 '맑은고딕'을 많이도 사용했다는게 문제의 시작이다.  맥용 오피스2011에서 그걸 보려면 몇가지 수정작을 해야만 한다.


젤 쉬운 방법은 '문서의 폰트를 모두 갖고 있는 폰트들로 바꿔 주는것'이다. 문서마다....수백개든 수천개든. ..필요할때마다.

좀 더 귀찮고 머리아픈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면 된다.

1. 윈도우 시스템의 '맑은고딕'(malgun.ttf, malgunbd.ttf)을 맥시스템으로 복사한다.
2. Mac OS X Font Tools를 사용해서 '맑은고딕'폰트 파일내용을 조금 수정해준다.
    (1) Font Tools : 커맨드라인 유틸리티.
        - 기능들이 궁금하다면 각 명령어 마다 --help 옵션을 사용하여 확인해보면 된다. (정말 많다)
    (2) 폰트 수정하기
        - 수정내용: 폰트 내에는 "name"에 대한 정보들이 들어 있다. 윈도우/맥 구분, 폰트 제작사, 라이선스 등등..
                            그 중 폰트명이나 스타일에 대한 부분들만 보완하면 된다. 즉, 윈도우용폰트 파일에는 맥용에 대한 내용이
                            없거나 있더라도 영문 맥에 대한 것만 기록되어 있다는것이다. '한국어 맥'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면 되겠다.
        - 수정방법
            > 먼저, 폰트파일(malgun.ttf)에서 name에 대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XML파일로 저장시킨다.
                ftxdumperfuser -t name malgun.ttf > malgun.xml
            > XML파일 내용을 수정한다. 즉, 예를 들면 아래그림과 같다. 대부분의 내용이 비슷한 패턴이다. 눈치코치 알아서 .
               "Family", "Style" 두가지는 꼭 수정하도록 한다.  

<nameTableEntry nameTypeID="1" nameTypeName="Family">
        <localizedName platformID="1" platformName="Macintosh" scriptID="0" scriptName="Roman" languageID="0" languageName="English" isRawHex="NO">Malgun Gothic</localizedName>
        <localizedName platformID="1" platformName="Macintosh" scriptID="3" scriptName="Korean" languageID="23" languageName="Korean" isRawHex="NO">맑은 고딕</localizedName>
        <localizedName platformID="3" platformName="Microsoft" scriptID="1" scriptName="Unicode" languageID="1033" languageName="English, United States" isRawHex="NO">Malgun Gothic</localizedName>
        <localizedName platformID="3" platformName="Microsoft" scriptID="1" scriptName="Unicode" languageID="1042" languageName="Korean" isRawHex="NO">맑은 고딕</localizedName>
</nameTableEntry>
            > 수정된 XML파일을 저장한 뒤에는 다시 폰트파일에 적용을 시켜야 한다.
                ftxdumperfuser -t name -d malgun.xml malgun.ttf 
 
3. 폰트 설치하기 : 해당 폰트가 이미 설치되어 있으면 미리 삭제하고 수정해둔 'malgun.ttf'를 설치한다.

아예 시스템 기본인 AppleGothic으로 변경해서 맥시스템을 맑은고딕으로 보이게 할 수도 있겠다.
1. 파일명을 먼저 변경.
    malgun.ttf --> AppleGothic.ttf
    malgunbd.ttf --> AppleGothicBold.ttf

2. Font Tools를 사용해서 각 폰트파일 내의 이름들을 고쳐준다.
    <localizedName ....>과 </localizedName>으로 싸여있는 문자열을 바꿔주는 것이다.
    Malgun Gothic --> AppleGothic
    맑은고딕 --> 애플고딕

3. 수정된 폰트파일(AppleGothic.ttf, AppleGothicBold.ttf)을 시스템에 적용하면 끝난다.
    - 파일위치: /System/Library/Fonts 디렉토리내에 저장하면 되는데, 이미 기존파일이 있으니까 덮어써준다.
4. 시스템을 껐다켜주면 화면 폰트들이 바뀐걸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은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맥용 오피스 2011"의 버그인듯 싶은데,
즉, 맑은고딕 글자들이 겹쳐서 보이는 현상이 계속 나타난다는 것이다. 워드의 <Preference>메뉴를 열어서 옵션을 수정해주면 문제점은 사라진다.

하위버전 워드문서를 읽을때 "폰트폭에 대한 처리"에 대한 옵션이 기본적으로는 "처리하지 않음"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옵션이 워드 프로그램에 영구적으로 적용되게 하면 좋겠는데, 그렇게 하는 메뉴가 없다. -.-;;

또 하나 발견된 버그는 엑셀의 "Sheet"명이 "한글"일때, 가끔 작업중에 'ㅁㅁㅁㅁ'로 보이는 현상이 생긴다. sheet를 선택하면 제대로 한글이 보이기도 하는데, 아직까진 원인을 모르겠다.

업데이트 많은 마이끄로소프트 제품이니 머잖아 패치가 되길 바랄밖에...
아울러 MS Office나 한컴 Office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하는 이 업계가 어서 바뀌었으면 하는 바램도....


## "맑은고딕"폰트는 Microsoft 사가 라이선스를 갖고 있으니, 맥에서 사용하려면 라이선스 구매를 먼저해야하겠다.
      하지만, 버트, BUT, 굳이 그런 비용을 들여서까지 사용할 이유가 있을까 싶다.
      그냥...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나눔고딕, 나눔명조, 등등"의 무료폰트들도 좋은게 많다.
      (다운로드: http://hangeul.naver.com/font)


##공개서체
1. 서울서체
2. 은글꼴

기타 등등등등등...


Posted by Jason Ryu
,